Table 1. Species number, general developmental mode and ecological function of each family

상과 종 수 생육양식 및 주요기능
말벌상과 (Vespoidea) 개미과(Formicidae) 15 · 진사회성(eusocial)· 부식자(scavenger)· 수분매개(pollination)
개미벌과(Mutillidae) 2 · 단독생활형(solitary)· 지중영소 꿀벌류 및 침벌류에 대한 노동력기생(kleptoparasitic)
대모벌과(Pompilidae) 4 · 단독생활형· 거미류 포식기생성(parasitoid)
배벌과(Scollidae) 1 · 단독생활형· 풍뎅이류 포식기생성· 수분매개
말벌과(Vespidae)
호리병벌아과(Eumeninae) 6 · 단독생활형· 소형 진흙집 구축(mud-dauber)· 나방, 딱정벌레 등 곤충류 포식성(predator)· 수분매개
쌍살벌아과(Polistinae) 2 · 아사회성(subsocial)· 소형의 펄프집 구축· 곤충류 포식성
말벌아과(Vespidnae) 5 · 진사회성· 대형의 펄프집 구축· 곤충류 포식성
꿀벌상과 (Apoidea) 구멍벌과(Sphecidae) 3 · 단독생활형· 지중 집단 영소· 메뚜기류 포식기생성
은주둥이벌과(Crabronidae) 5 · 단독생활형· 지중 혹은 딱정벌레 구멍 영소(ground nesting and tube burrower)· 메뚜기류 포식기생성· 수분매개
꿀벌과(Apidae) 3 · 아사회성(presocial)/진사회성· 수분매개
꼬마꽃벌과(Halictidae) 1 · 단독생활형· 수분매개
가위벌과(Megachilidae) 1 · 단독생활형· 수분매개
2상과 10과 48종